■ 두 번째 글을 시작하며.......잡담...
제가 처음 MP3를 사용했던 것은 1998년도 이었습니다. 그 당시 L모사에서 나온 아하**였는데, 메모리카드를 넣고 사용하던 MP3P 기기이었습니다. 그 때 기본으로 제공되면 메모리카드 용량이 16메가짜리 2장 즉 32메가였습니다. 그 당시 메모리카드가 상당히 비싸서 32메가 메모리카드에 약 10곡 정도 넣어서 하루동일 듣고 다녔던 기억이 있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웃음이 나오는 용량이었지만 그것도 나름대로 유용하게 썼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에 비해서 요즘 나오는 MP3P의 용량은 어마어마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형태를 지원함으로서 점점더 고용량의 MP3P가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05년도 가장 주목을 받던 MP3P 중에 아이**의 U** 라는 제품이 있었습니다. 아담한 사이즈와 깔끔한 디자인 그리고 쉬운 조작성 등 여러 가지 면에서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집중시켰던 제품이었습니다. 하지만 비슷한 시기에 나온 애*사의 나* 때문에 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했습니다. 그 이유는 먼저는 가격적인 면이었고 두 번째는 용량 때문이었습니다. MP3뿐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고 있었지만 516MB 와 1GB 의 용량은 소비자들이 선택하는데 주저함을 주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저는 516MB 짜리 해당기기를 사용해 보았는데, 영화1-2편과 MP3파일 조금 넣으면 꽉차는 메모리 때문에 상당히 불편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작은 용량의 MP3P 기기에 답답함을 느꼈던 사람이라면 8GB 의 대용량의 현원 mobiBLU DHH200 에 큰 관심이 갈 것 같습니다. 제가 현원 mobiBLU DHH200 에 관심을 가진 큰 이유 중에 하나입니다. ^^
이번 두 번째이자 마지막 사용기인 이 글은 현원 mobiBLU DHH200 의 메뉴 구성과 현원 mobiBLU DHH200 의 기능 및 성능을 메뉴 구성에 따라서 살펴보는 방식으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
■ 현원 mobiBLU DHH200 의 기본 사양과 특징.
이번 글을 시작하면서 현원 mobiBLU DHH200 의 사양을 간단하게 나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에 사용 설명서에 나온 제품 사양표를 옮겨왔지만, 전 사양표만 보고는 잘 모르겠습니다. - 저의 무식함이 탄로 나는군요 ㅠㅜ |
■ 현원 mobiBLU DHH200 의 기본 작동법
▶ 버튼은 전원 켜기와 끄기, 파일재생과 일시 정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은 휠키입니다. 휠키는 기본적으로 음량의 증가와 감소 시킬 때 사용합니다. 또한 메뉴의 상하좌우 이동할 때도 이 휠키를 사용합니다. 마지막으로 조이스틱키인데, 현원 mobiBLU DHH200 을 작동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조이스틱키는 상하좌우로 움직이고 누루면서 현원 mobiBLU DHH200을 작동합니다. 조이스틱키를 누르면 메뉴, 네비게이션 모드로 진입합니다. 아래로 하면 북마크 설정이나 EQ 변환하기가 됩니다. 위로하면 Audio 모드 진입모드가 나옵니다. 그리고 ID3 Tag 검색 메뉴로도 들어갈 수 있습니다. 좌우로 움직이면 네비게이션의 하위/상위폴더로 이동할 수 있고 메뉴 설정값 수치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음악들을 때나 영화볼 때나 그림파일을 볼 때 다음파일이나 전 파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현원 mobiBLU DHH200 의 작동법은 그리 어려운 편이 아닌 것 같습니다. 현원 mobiBLU DHH200 은 어느 누구나 금방 쉽게 그 작동법을 숙지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그냥 넘어갈 수 있는 부분이지만 아무리 좋은 기기라 할지라도 작동법이 어려우면 무용지물입니다. 그러면 면에서 작기본작동법을 살펴본 것인데 결과는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는 헷갈릴 수도 있지만 금방 쉽게 작동법을 알 수 있다" 입니다. |
■ 현원 mobiBLU DHH200 충전하기
|
■ 현원 mobiBLU DHH200 시작하기...
|
■ 현원 mobiBLU DHH200 의 메뉴 구성.
전원을 켜고, 조이스틱키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기본메뉴 6개가 나옵니다. 각 메뉴별로 찍는다고 찍었는데 유틸리티 부분하고 재생모드 부분은 빼먹고 찍었습니다. 이 부분은 양해를 구하겠습니다. 이제 현원 mobiBLU DHH200 의 메뉴 구성을 통해서 현원 mobiBLU DHH200 의 기능과 성능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현원 mobiBLU DHH200 의 메뉴 구성 - 모드
|
MP3를 직접 현원 mobiBLU DHH200 에 옮겨서 듣는데는 큰 문제가 발생하지를 않았습니다. 하지만 다운 받은 도시락 파일(dcf)의 경우에 직접 현원 mobiBLU DHH200 에 옮겨서 실행했을 때 인식하지 못하거나 다운되는 현상을 보였습니다. 도시락 파일은 도시락 프로그램을 통해서 현원 mobiBLU DHH200 에 전송해야 합니다.
도시락 프로그램에서 장치연결을 하면 아래와 같이 현원 mobiBLU DHH200 의 모델명이 나옵니다만 사진은 1500 이 나오네요. ㅠㅜ. 장치연결한 상태에서 정치전송을 누르면 도시락 프로그램에서 현원 mobiBLU DHH200 으로 도시락파일(dcf) 가 전송이 됩니다. 이렇게 정상적(?)으로 전송했을 경우에는 당연히 다운 되는 현상이 없었습니다.
여기서 잠깐!!!!
이때 전송된 파일은 174개이었습니다. 세 번째는 4.79GB 용량의 영화파일을 노트북에서 현원 mobiBLU DHH200 에 전송할 때의 경우입니다. 각각 파일 전송에 걸린 시간은 첫 번째가 2분 47초 정도, 두 번째가 11분 6초 정도, 세 번째가 12분 29초 정도 걸렸습니다. 직접적으로 파일 전송하는 시간은 그렇게 오래걸리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도시락 프로그램을 통해서 전송하는 경우에는 직접 파일 전송할 때보다 조금더 시간이 걸리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
|
|
■ 현원 mobiBLU DHH200 의 메뉴 구성 - 유틸리티
|
|
■ 현원 mobiBLU DHH200 의 메뉴 구성 - 화면설정
|
■ 현원 mobiBLU DHH200 의 메뉴 구성 - 재생모드
재생모드는 아래 그림과 같이 재생시 여러 가지 필요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 현원 mobiBLU DHH200 의 메뉴 구성 - 이퀄라이즈
|
■ 현원 mobiBLU DHH200 의 메뉴 구성 - 설정
|
지금까지 현원 mobiBLU DHH200 의 메뉴 구성을 살펴보았고 또 메뉴 구성에 따라서 기능과 성능 부분을 살펴보았습니다. 어떤 부분은 조금 자세히 그리고 어떤 부분은 그냥 보여주는 정도로 넘어왔습니다만 많이 부족한 글입니다. 따라서 혹 부족하고 맘에 들지 않는 부분이 있다 하더라도 이해를 부탁드립니다.
지금까지 현원 mobiBLU DHH200 에 대해서 쭉 살펴보았습니다. 정리하자면 현원 mobiBLU DHH200 은 디자인 면에 있어서도 상당한 만족감을 주었습니다.
그리고 크기나 용량 그리고 여러 가지 기능을 통해서 MP3P 기기를 사용하는 재미를 주는 기기입니다. 기본적인 것들은 대체적으로 만족스러웠지만 그렇지 않았던 부분도 있었습니다.
지금까지 그런 부분에 대해서 글을 쓰면서 조금씩 지적을 했는데, 현원에서 앞으로 이러한 것들을 참고해서 앞으로 더욱 더 멋지고 재미있는 기기들을 만들어줄 것을 기대하면서 현원 mobiBLU DHH200 체험단 사용기를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체험단이라는 좋은 기회를 주신 팝코넷과 현원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이제 현원 mobiBLU DHH200 의 전원을 끄겠습니다.
추신: 부족한 글을 읽으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다음에 또 기회가 있다면 그때 더 잘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
Copyright ⓒ todayearly.tistory.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REVIEW > PMP/MP3P/전자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번째]새로운 시작.... Atree UJ10 (0) | 2007.05.16 |
---|---|
[첫번째]새로운 시작.... Atree UJ10 (0) | 2007.05.01 |
VoIP 기능이 있는 MP3플레이어 MCODY MX-400M (0) | 2007.01.18 |
현원 모비블루 DHH-200 첫번째 (0) | 2007.01.07 |
iriver U10 (0) | 2007.01.02 |